1차 사내강사과정 프로그램 세부내용
차수 | 주제 | 세부내용 | 강의법 | 시간 |
---|---|---|---|---|
1차 [사내강사 양성 집중 기본 교육] |
성인학습 이해와 사내강사 필요 역량 |
- 성인학습 변화와 학습자 성향이해 - 전문분야의 사내강사 활용의 중요성과 필요역량 - 강의 활동 절차 이해: 계획-준비-실시-평가 및 피드백 - 강의 준비와 구상 이해: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? |
강의 / 실습 | 8H |
나의 강의 스타일 파악 및 진단 |
- 나의 사내강사로서 스타일 진단: 주도형, 온건형, 신중형, 개방형, 의존형 - 1차 SPOT 발표 진행: 강의 현재상태 진단 - 간단 피드백 및 장단점 파악 |
|||
교수 계획 수립 |
- 교수 설계 및 교육매체 선정 요령 - 강의교안 논리구성 방법: 오프닝-서론-본론-결론-클로징 - 사내강사의 디지털 매체 활용법 1)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레이아웃 법 2) 강의에 필요한 멀티미디어 효과(동영상 등) 활용 3) 강의에 도움을 주는 파워포인트 활용TIP’S소개 |
|||
꼭 알아야 할 강의 테크닉 |
- 알아두어야 할 강의 테크닉 1) 또렷하게 말하기, 조리 있게 말하기 2) 유연한 표현: 유머 활용, 에드립 활용법 3) 표현상의 변화주기: 강약조절, 완급조절 - 핵심 논리 만들기와 3분스피치: 1차 간단 발표 진행 - 개인별 코칭 및 디지털 캠코더 촬영 모니터링 피드백 - 이성적 언어와 감성적 언어의 조화: 논리적 표현과 정서적 표현 방법, 보이스 트레이닝 |
2차 사내강사과정 프로그램 세부내용
차수 | 주제 | 세부내용 | 강의법 | 시간 |
---|---|---|---|---|
2차 [사내강사 양성 집중 심화 교육] |
SPOT 활용 및 교육 촉진 스킬 |
- SPOT 활용과 교육촉진의 의미 - 강의간 활용할 수 있는 SPOT소개: 퀴즈, 게임 등 - 교육촉진을 위한 스토리 텔링 기법 소개 - 파워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SPOT 및 교육 촉진법 |
강의 / 실습 | 8H |
모의 강의 준비 |
- 약식 강의자료 준비(5분 분량) - 파워포인트 내용 구조화 - 예행 연습 및 강의 준비 착안사항 소개 |
|||
강의 시연 및 집중 트레이닝 |
- 강의시 요구되는 퍼스널리티 1) 강단에서의 신뢰감 연출: 용모,복장, 태도 등 2) 적절한 동선관리 및 올바른 보조도구(포인터 등) 활용법 - 질의응답 대응법 1) 예상질문 파악과 모르는 질문 대응 2) 질문유도 및 활용기법 - 강의 실습 집중 트레이닝 1) 개인별 7’발표 및 3’질의응답 진행 2) 상호 cross 평가 및 피드백 * 디지털 캠코더 촬영 모니터링(상호 토의 및 피드백) |
|||
최종 강평 및 피드백 |
- 우수한 사내강사의 자질과 요건 - 사내강사로서 나의 발전 방향 체크 - 사내강사 업무수행에 필요한 기타 제언 |
3차 사내강사과정 프로그램 세부내용
차수 | 주제 | 세부내용 | 강의법 | 시간 |
---|---|---|---|---|
3차 [사내 강사 양성 사후 Follow-Up] |
실전 강의 교안 및 강의 방향 코칭 |
- 파워포인트 활용 준비된 교안 강의 및 코칭 1) 오프닝과 핵심본론, 결론부 강의 2) 논리적 흐름 파악 3) 비주얼 효과 검토 및 코칭: 비포 – 애프터 진단 - 담당 과목에 대한 종합 점검(워크숍 형태진행) 1) 방향 및 핵심내용 점검, 매체 및 교수설계 준비상태 파악 2) 언어적, 비언어적 강사의 행동 점검 |
강의 / 실습 | 8H |
수정 보완 및 강의 준비 |
- 비주얼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수정보완 - 각 요소별 발표 테크닉 및 발표자 착안사항 확 - 강의전 최종 준비상태 확인 및 예행연습(리허설) |
|||
강의 시뮬레이션 학습 |
- 종합 실전 강의(개인별 7분, 질의응답 2-3분) 1) 주의집중 및 동기부여 2) 논리적 전달력 및 설득력 3) 청중과의 상호작용 방법 - 실전 강의와 동일한 상황 부여 및 집중 심화 지도: 360도 강의 평가 진행(강사, 자신, 청중): 체크리스트, 강의 경진대회식 진행 |
|||
발전 방향 워크숍 |
- 기본교육 후 달라진 개인별 Skill-Up 점검 - 사내 전문강사로서 강의 업그레이드 방안 토의 발표 - 이후 보완과제 및 지속적인 강의 수준 유지를 위한 실천계획 수립 - 종합정리 및 피드백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