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셀프 리더십
- LSP 셀프 리더십
- 셀프 리더십 WDEP
- 심리적 안전감 리더십
- 초연결, THE 괜찮은 리더
- 리더의 삶, 리더의 역할
- 소통 리더십
- 세대 소통 리더십
- 관계 소통 리더십
- TA 조직관리 리더십
- FLIP 및 TA 리더십
- 버크만 조직 리더십
- 상황대응 리더십
- 의사결정 리더십 Ⅰ
- 의사결정 리더십 Ⅱ
- 코칭 리더십
- 코치형 리더십
- 동기부여 리더십
- 중간 관리자 브릿지 리더십
- 관리자 브릿지 리더십
- 팀장 리더십
- 차세대 팀장 브릿지 리더십
- 여성 리더십
- 조직문화 리더십
- 조직비전 리더십
- 조직관리 리더십
- 리더의 구성원 육성
- 협업 리더십
- 360도 리더십
- 성과관리 리더십
- KPI 성과관리 리더십Ⅰ
- KPI 성과관리 리더십Ⅱ
- 성과.목표관리 리더십
- 실전 성과관리 리더십
- OKR 성과관리 리더십
- 성과·팀·변화 리더십
- 변화관리 리더십
- DTL 변화관리 리더십
- 습관 관리 리더십
- FLOW 리더십
- AI 공존 리더십
- 갈등관리 리더십
- TKI 갈등관리 리더십
- 위기관리 리더십
- 윤리경영 리더십
- 포용의 리더십
- 회복탄력성 리더십
- 리더의 이미지 포커싱
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셀프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나를 아는 용기│셀프 리더의 출발선 - [자기 인식]: 고정된 사고와 감정 패턴에서 벗어나 나의 관점 자각하기 - [리더십 역할]: 조직 속 룰 메이커·테이커·브레이커 유형과 나의 역할 점검 - [심리 진단]: 셀프 리더십 심리검사를 통해 강점·제약 요소 시각화 - [행동 피드백]: 긍정/부정적 영향력을 주는 평소 태도와 반응 분석 - [자기 통찰]: 삶의 반복된 한계를 만든 원인을 되짚고 관점 재설계하기 Ⅱ. 변화를 리셋하다│ASK 셀프 리더십 전략 - [Attitude]: 조직문화를 만드는 태도와 선택의 힘 이해하고 방향 전환하기 - [Skill]: 의사소통과 문제 해결을 연결하는 실전 소통 전략 익히기 - [Knowledge]: 업무 몰입과 성장을 위한 지식 태도와 마이크로 러닝 실천 - [1도 변화]: 하루 1도씩 실현 가능한 행동 변화 항목 도출 및 공유 - [슬리도 피드백]: 나의 변화 의지를 팀과 공유하며 응원받는 구조 만들기 Ⅲ. 감정을 움직이다│셀프 리더십의 확장 - [감정 메타인지]: 감정의 파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자기 코칭 전략 - [감정 리더십]: 팀에 전염되는 감정의 힘을 활용한 긍정 에너지 확산법 - [상황 반응 실험]: 긍/부정 감정을 유발하는 상황별 리더 반응 실습 - [감정 연결 맵핑]: 팀원들과 나의 감정 연결고리를 시각화해 관계 리셋하기 - [마인드 리추얼]: 변화된 감정 표현 한 문장으로 마무리하고 팀과 선언하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레고시리어스 플레이(LSP) 셀프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LSP 셀프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LSP로 나를 꺼내다│몰입과 성찰의 셀프 리더십 - [LSP 이해]: 레고시리어스플레이(LSP)의 철학과 몰입 기반 성찰법 알아보기 - [강점 탐색]: 나를 움직이게 하는 핵심 강점, 무의식적 자원 시각화하기 - [역할 인식]: 조직과 관계 안에서 내가 수행하고 싶은 역할 정리 - [유리천장 점검]: 나의 성장 한계를 만드는 환경과 생각 점검 Ⅱ. 리더십 패러다임 전환│지금, 나답게 리드하기 - [리더십 모델]: 자기조율, 관계중심, 강점기반, 그루리더십 등 다양한 리더상 탐색 - [트렌드 이해]: NQ 시대, 감성·공감 기반 리더십이 필요한 이유 공유 - [LSP 표현]: 나에게 어울리는 리더십 키워드를 모델로 조립하고 해석하기 - [관점 확장]: 과거-현재-미래의 연결선상에서 나의 성장 곡선 읽어보기 - [함께 보기]: 동료들의 리더십 모델 공유를 통해 다름과 가능성 수용하기 Ⅲ. 나를 믿는 힘│자기 리더십을 실천으로 - [성장형 사고]: 지금의 강점에 확신을 갖고 더 확장할 수 있는 영역 설계하기 - [몰입과 의미]: 일이 나에게 주는 가치와 몰입 조건 탐색 및 모델링 - [리더십 선언]: 내가 실천할 단 하나의 변화 액션을 문장으로 구조화 - [실천 루틴]: 나의 강점을 하루 5분씩 실현하는 구체적 루틴 정리 - [감정 피드백]: 활동 중 느낀 감정과 생각을 나누며 몰입 경험 확장하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셀프 리더십 WDEP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셀프 리더십 WDEP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심리적 욕구 강도 파일 진단을 통한 셀프 리더십 방향성 - [동기 유형 진단] 윌리엄 글래서의 심리적 욕구 이론을 통해 내 욕구 패턴 인식하기 - [욕구 우선순위] 소속감/자율/힘/자유/즐거움 중 나의 Best 욕구 파악하여 행동 연계하기 - [조도성 & 효과감] 자기 주도성과 효과감의 상관관계로 조직 내 리더십 영향력 살펴보기 - [욕구 갈등] 조직 내 역할과 개인 욕구 간의 충돌과 균형 전략 구체화하기 - [행동 설계] 셀프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한 5가지 욕구 해소 방식 도출하기 Ⅱ. 셀프 리더십 변화를 가져오는 WDEP 4단계 실천 법칙 - [Wants 단계] 내가 원하는 욕구를 직면하고 우선순위 공유하기 (욕구 카드 실습 포함) - [Direction 단계] 원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 실천 방향 계획하기 - [Evaluation 단계] 현재 방식에 대한 성찰 및 실천 평가를 통한 전환 시도하기 - [Planning 단계] 팀원과의 공유를 통해 일과 삶에서 실천 가능한 행동 루틴 설계하기 - [실천 공유] 나만의 WDEP 적용 선언문을 작성하고 함께 공유하며 동기화하기 Ⅲ. 셀프 리더십 동기화 실천을 위한 사례와 루틴 만들기 - [시작 활동] 실천 지속성을 높이는 루틴의 사례와 긍정적 출발의 중요성 알아보기 - [행동 루틴] 부정적 자동사고를 멈추고 긍정적 자기 대화로 전환하기 - [자기 권한 부여] 내 욕구에 책임지는 리더가 되기 위한 자기 동기부여 전략 정리하기 - [감정 조절 루틴] 정서적 위기를 예방하는 나만의 회복탄력 루틴 설계해보기 - [나만의 루틴] 스스로 선택한 긍정적 루틴 1가지를 실천 선언으로 마무리하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심리적 안전감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심리적 안전감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안전한 분위기가 성과를 만든다│심리적 안전감 이해 - [개념 정의]: ‘벌 받지 않고 말할 수 있다’는 팀 분위기의 심리적 기초 탐색 - [조직 사례]: 구글·MS 등 심리적 안전감이 높은 팀의 특징과 성과 비교 - [4요소 점검]: 참여, 진실성, 경청, 비난 없음이라는 핵심 기준 자가 진단 - [위협 신호 인식]: 말 끊기, 표정, 톤, 묵살 등 리더의 무의식적 위협 신호 확인 - [자신의 상태 점검]: 내가 만든 ‘안전한 분위기’ 또는 ‘조심스러운 팀’ 자가 체크 Ⅱ. 나는 어떻게 반응하는가│리더의 피드백과 감정 - [감정 리터러시]: 말보다 감정이 먼저 전염된다는 리더의 정서 자각 연습 - [반응 방식 탐색]: 실수, 불만, 제안에 대한 나의 기본 반응 스타일 점검 - [경청 훈련]: 끊지 않고, 판단 없이, 신호를 읽는 3단계 경청법 실습 - [피드백 화법]: 위협 없이 말하기 위한 쿠션 화법, STAB, 나-메시지 연습 - [심리적 배려 표현]: “말해줘서 고마워” “이 공간은 안전해요” 등 표현 구조 설계 Ⅲ. 안전을 리드하다│심리적 안전 리더십 실천 - [신뢰 리더의 3요소]: 일관성, 배려, 자기노출을 갖춘 리더십 구조 정리 - [실수 공유 문화]: 리더가 먼저 약한 순간을 말하는 Vulnerability 전략 실습 - [팀 공감 루틴]: 감정 체크인, 팀 회고, 칭찬 릴레이 등 문화적 루틴 설계 - [회복 커뮤니케이션]: 상처 주는 말 이후의 회복 대화법 구성 및 연습 - [리더 선언문]: “우리 팀이 안전해지기 위해 내가 바꾸는 말과 행동” 선언하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초연결, THE 괜찮은 리더 Ⅰ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초연결, THE 괜찮은 리더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리더십, 콘셉트가 있어야 통한다│영향력의 방향을 잡는 기준 - [리더십 재정의] 우리 조직에서 ‘괜찮은 리더’는 어떤 이미지인지 구성원과 함께 성찰하기 - [밸런스 게임] 공감 토크를 통해 지금 우리 팀이 바라는 리더의 모습 찾아보기 - [뉴 리더십] ‘성과 중심’에서 ‘성장 중심’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짚는 흐름 - [브랜드 리더] 리더로서 나의 재정립 키워드 3개 정하고, 조직 안 역할 정렬하기 - [리더십 콘셉트화] 리더의 스타일과 역할을 연결짓는 자기만의 리더십 콘셉트 그리기 Ⅱ. 질문이 리더의 힘이 된다│조직을 성장시키는 질문 기술 - [질문 리더] 매출이나 목표 중심 리더와는 다른 ‘질문하는 리더’의 특징 비교 - [성찰 질문] 현재의 유지가 아닌, 변화와 확장을 위한 질문의 방향성 설계 - [조직 질문] 우리 구성원에게 지금 필요한 질문은 무엇인지 구체화해보기 - [질문의 방식] 왜가 아니라 무엇을 묻는 프레임으로 조직 변화의 실마리 찾기 - [Real Why 실습]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문제의 본질을 찾는 질문 리더십 실습 Ⅲ. The 괜찮은 리더│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의 조건 - [리더의 유형] 통제형 vs 무관심형 vs 괜찮은 리더 유형별 사례로 풀어보기 - [과정 중심] 결과보다 과정을 살피는 리더, 정서적 공감이 가능한 리더 이미지 탐색 - [소통 역량] 리더가 말을 줄이고 질문을 던질 때 생기는 변화 살펴보기 - [조직문화 연결] 괜찮은 리더의 등장이 구성원에게 미치는 정서적 안정감 분석 - [리더 선언] 지금 나는 어떤 리더로 존재하고 싶은가에 대한 자기 표현 및 공유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리더의 삶, 리더의 역할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[리더의 역할] 변화. 성장을 위한 리더의 역할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리더의 일상에서 리더십은 시작된다│삶과 태도로서의 리더 역할 성찰 - [리더의 정의 리마인드]: 직급이 아니라 영향력, 변화와 책임을 이끄는 사람 - [내가 리더였던 순간들]: 공식적 리더십 아닌, 일상에서 발휘된 ‘작은 리더십’ 되돌아보기 - [리더십 자가진단]: 나의 리더 성향 점검 및 조직 변화에 대한 민감도 살펴보기 - [역할 vs 존재]: ‘성과 만드는 사람’이 아닌 ‘사람을 남기는 리더’로 관점 전환 - [성찰 활동]: 내가 생각하는 좋은 리더 이미지와 ‘내가 되고 싶은 리더’의 간극 탐색 Ⅱ. 변화는 리더의 선택에서 시작된다│주도성과 유연성의 균형 잡기 - [변화의 타이밍]: 변화가 늦어 실기한 조직 사례 vs 타이밍을 선점한 리더십 사례 비교 - [조직 내 변화 저항 대응법]: 불안-혼란-모호성에 대처하는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- [리더십 펜듈럼]: 성과와 관계, 통제와 자율 사이를 오가는 리더의 중심 잡기 - [상황형 리더십]: 정답보다 정서를 읽는 민감한 리더의 역할 구상 - [조직의 변화 맥락 이해]: 우리가 마주한 전환점은 어떤 의미인가? Ⅲ. 좋은 리더는 혼자 만들지 않는다│가치 공유와 팀 변화 설계 - [팀의 미래 함께 설계하기]: 우리가 바라는 팀의 모습 브레인라이팅으로 도출 - [가상 조직 워크숍]: 문제 인식 → 원인 탐색 → 해결 아이디어 도출 과정 설계 - [가치 통합 활동]: 구성원과 조직의 가치가 충돌할 때, 조율과 설득의 포인트 찾기 - [나의 리더 선언문]: 삶에서 실천할 작지만 의미 있는 리더십 행동 1가지 정리 - [함께 리딩하기]: 코칭형 질문으로 동료의 리더십을 북돋는 피드백 실습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소통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소통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말을 줄이고 듣는 힘│리더는 말보다 질문이 무기다 - [듣기의 전환] 평가·지시형 리더에서 경청·성장형 리더로 전환 포인트 짚기 - [질문의 구조] 판단보다 탐색을 이끄는 개방형 질문의 리더 화법 익히기 - [말의 절제] 말이 많을수록 신뢰는 줄어드는 커뮤니케이션의 역설 이해하기 - [리더의 태도] 리액션보다 리스펙트, 경청의 태도로 관계를 이끄는 리더 되기 - [성찰 워크] 내가 많이 하는 말 패턴, 내가 자주 놓치는 피드백의 타이밍 점검하기 Ⅱ. 연결과 공감의 언어│마음이 열려야 말이 들린다 - [관계 언어] 일 중심 커뮤니케이션에서 정서 중심 소통의 중요성 인식하기 - [공감 메시지] “왜 그래요?” 대신 “그럴 수 있죠”라는 공감 언어 구조 배워보기 - [감정 다루기] 불안, 실망, 분노 등 감정이 개입된 대화 속 리더의 중재 방식 익히기 - [쿠션 화법] 갈등 상황에서 직면을 피하지 않으면서도 부드럽게 조율하는 말하기 - [사례 토론] 진짜 갈등이 있었던 조직 사례를 통해 공감 기반 대화법 분석해보기 Ⅲ. 피드백의 품격│조직을 살리는 말에는 온도가 있다 - [말의 온도] 업무 피드백과 감정 표현을 분리하는 화법 설계해보기 - [인정의 기술] “잘했어”보다 “네가 기여했어”가 효과적인 피드백 언어 탐색 - [GROW 모델] 성장 중심 피드백의 구조(G-R-O-W)로 대화 전략 구성해보기 - [피드백 실습] 부정적 피드백을 리프레이밍하여 동기부여로 바꾸는 훈련 - [소통 선언] 지금 내게 필요한 리더 소통 문장 하나 정해 공유하고 다짐해보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세대 소통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세대 소통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다른 세대가 아닌 ‘다르게 해석하는 세대’│세대 이해의 관점 바꾸기 - [세대별 코드 이해]: 음악, 문화, 키워드를 통해 386~알파세대까지 주요 특징 비교 - [가치 인식 차이]: 기성세대와 MZ세대가 중요하게 여기는 기준의 차이 분석 - [세대 충돌 상황]: 같은 장면, 서로 다른 해석 – 실제 상황 속 세대 관점 정리 - [감정 표현 차이]: 말투, 공감 방식, 인정 기대감의 세대별 표현 차이 정리 Ⅱ. MZ세대와 ‘일’을 연결하다│공감형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- [불안의 언어 읽기]: 불편한 감정 속 진짜 메시지를 해석하는 공감 전략 - [동기 해석]: ‘성장’, ‘존중’, ‘경계 유지’ 등 MZ가 반응하는 동기 자극 포인트 탐색 - [업무 몰입 조건]: 명령보다 설명, 지시보다 선택지를 주는 리더십 설계 - [함께하는 대화법]: “말해줘서 고마워”, “이게 너에겐 어떤 의미일까?” 표현 훈련 - [슬리도 실습]: “나를 떠나게 만든 말 vs 붙잡게 만든 말” 세대별 경험 공유 Ⅲ. 세대 차이를 연결하는 리더│실천을 위한 소통 루틴 설계 - [심리적 안전감]: 회의, 면담, 보고 등 일상에서 안전한 말 공간 만드는 전략 - [인정 자본]: 충분히 표현하고 기록하는 리더의 피드백 루틴 구성 - [세대 포용 루틴]: 전 세대를 잇는 ‘온도차 인정 + 공감 질문’ 대화 흐름 설계 - [상황극 실습]: 세대 갈등 대화 리플레이 & 연결 언어 재구성 실습 - [실천 선언]: 나의 세대 소통 방식에서 바꿀 ‘말투 한 문장’ 선언하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관계 소통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관계 소통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관계에도 기술이 필요하다│요즘 팀의 안전감과 신뢰는 이렇게 만든다 - [심리적 안전감 진단]: 조직 안에서 '실수해도 괜찮은 분위기'인가 되묻기 - [신뢰를 잃는 말버릇]: 과잉 지시, 조언 중독, 방어적 언행을 피해야 하는 이유 - [정중한 한마디의 힘]: 공감-수용-요청의 구조를 활용한 피드백 프레이밍 익히기 - [팀워크 언어 체크리스트]: 내가 자주 쓰는 말 중 팀워크를 해치는 표현은 무엇인지 점검하기 - [역할과 표현 실습]: 문제 상황에서 리더의 언어를 정중하게 리디자인하는 연습 Ⅱ. 오해는 줄이고 연결은 넓히기│세대와 입장이 다른 구성원과의 연결법 - [관점 간극 이해하기]: MZ세대와 중간관리자가 바라보는 ‘일의 의미’ 차이 분석 - [세대 감수성 테스트]: 나의 리더십이 머물러 있는 세대 감수성 점검 - [MZ의 언어적 민감도]: 부정·회피·단절을 유발하는 말투에서 ‘회복 탄력 말투’로 전환하기 - [인정 자본과 리마인드]: 무관심보다 인정이 더 큰 동기부여가 되는 이유 풀어보기 - [세대 맞춤형 피드백 기술]: 지시가 아닌 연결로 이끄는 2단계 공감화법 Ⅲ. 정중함은 리더의 경쟁력이다│요즘 리더에게 필요한 피드백 습관 만들기 - [정중한 피드백 3단계]: 사실 묘사 → 영향 공유 → 바람 표현 - [‘Yes And’ 화법]: 반박하지 않고 확장하는 긍정적 논의 구조 만들기 - [나의 말 습관 바꾸기]: 무심코 내뱉는 말 대신 팀을 세우는 한마디로 리디자인하기 - [실제 사례 리플레이]: 구성원의 자존감을 해친 대화 vs 관계를 세운 피드백 비교 - [나의 리더 선언]: 팀워크를 살리는 말버릇 한 줄 다짐으로 정리하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TA교류분석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TA셀프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자아의 구조│조직은 마음의 집합이다 - [PAC 진단]: 긍정성·사고력·재결단력으로 자아 상태를 진단하고 나의 성향 파악하기 - [조직 심리]: 나와 타인의 자아 상태에 따른 조직 내 역할과 반응 구조 이해하기 - [5가지 마음 태도]: OK-OK 등 마음 프레임을 통한 조직 내 관계 역동 들여다보기 - [문제 자아 분석]: 반복되는 갈등 상황 속 부모·성인·어린이 자아의 작동 방식 확인하기 - [TA 실습]: 자아 진단표와 피드백을 활용한 나의 PAC 프로파일 작성 및 공유 Ⅱ. 셀프 리더십│내 안의 대화가 리더십을 만든다 - [교류패턴 분석]: 상호작용 속 반복되는 대화 유형을 통해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점검하기 - [Stroke 이해]: 감정적 반응을 이끄는 언어/비언어적 메시지 유형 분류와 대응 전략 설계 - [시간 구조화]: 자아가 시간을 활용하는 방식(회피/생산/과잉 집중) 이해 및 전환 전략 도출 - [피드백 대화법]: 감정을 덜어내고 기능적으로 말하는 1:1 상황별 대응 화법 익히기 - [슬리도 활용]: 익명 피드백을 통해 리더십 유형 공유하고 자기 인식 확장하기 Ⅲ. 변화의 실천│문화는 작은 행동에서 시작된다 - [문화 진단]: 조직 내 자아 유형이 만들어내는 문화적 분위기와 말투, 감정 흐름 분석 - [심리적 안전감]: 방어 반응을 낮추고 정서적 여지를 확보하는 공감 커뮤니케이션 설계 - [조직문화 캠페인]: 감정 리더십 기반의 긍정 행동 확산 전략 아이디어 도출 - [실천 루틴]: 하루 한 표현, 감정 체크인 등 반복 가능한 실천 행동 설계 및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FLIP 및 TA 조직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FLIP 및 TA 조직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나를 아는 리더│FLIP 도구로 보는 나의 리더십 - [FLIP 자기분석]: 리더로서 내가 주로 작동시키는 동기 언어 확인 - [이중 시선]: 내가 보는 나 vs 구성원이 느끼는 나의 리더십 이미지 - [리더십 리플렉션]: 업무·삶의 에피소드를 통해 행동 패턴 도출 - [성장 방향 설계]: 나의 리더 유형 진단 후 미래 역할 설정 Ⅱ. 감정 기반 소통│상황카드로 푸는 리더십 전략 - [상황별 반응훈련]: 구성원 행동의 ‘이면’을 읽고 의도 파악하기 - [실전 시뮬레이션]: 조직관리 게임으로 갈등/협업 대응 전략 도출 - [피드백 기술]: ‘강점 기반’ 팀원별 피드백 설계 및 실습 - [소통 유형 탐색]: 자율형, 공감형, 목적형 등 팀 유형 이해 - [TA 연결]: 상호 작용 패턴을 ‘TA 자아구조’로 분석하여 전략 수립 Ⅲ. 다름의 이해│TA로 조직 구성원 읽기 - [TA 예고구조 진단]: 내가 작동시키는 자아와 구성원 반응 탐색 - [유형별 소통법]: TA별 반응 언어와 인정 욕구 충족 전략 익히기 - [관계 조율 기술]: 부하/상사/동료와의 TA 관계별 커뮤니케이션 해석 - [리더십 코칭]: 감정적 충돌을 진단하고 회복하는 언어 루틴 훈련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버크만 조직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버크만 조직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자기 이해│욕구와 스트레스 반응을 읽다 - [버크만 관점]: 자기 인식, 타인 이해, 사고방식 등 4가지 관점에서 진단 결과 해석 - [욕구와 동기]: 개인의 욕구, 기대 환경,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반응 차이 분석 - [행동 영역]: 일과 사람 중심 성향, 즐거움을 느끼는 일과 에너지 분포 확인 - [스트레스 반응]: 충족되지 않는 욕구가 불러오는 행동 변화와 조직 내 갈등 이해 - [진단 피드백]: 나의 욕구/반응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조직 내 행동 패턴 정리 Ⅱ. 구성원 이해│다름을 읽으면 관계가 보인다 - [타인 이해]: 버크만 유형별 특성과 관계 선호도를 바탕으로 구성원 해석하기 - [조직 역학]: 문제 해결 방식, 의사결정, 순서 구조 등 일하는 방식의 차이 분석 - [사고 패턴]: 프리퍼 리포트로 사고 방식 구분하고 문제 접근 유형 비교하기 - [관계 시뮬레이션]: 팀 내 대인 갈등 사례를 바탕으로 욕구 중심 소통 실습 - [Slido 공유]: 구성원별 리더에게 바라는 점을 실시간 공유하며 통찰 확장하기 Ⅲ. 리더십 적용│강점은 조율할 때 빛난다 - [나의 리더십]: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강점과 약점을 자각하고 리더십 언어 정리 - [리더십 스타일]: 나의 리더 유형과 조직이 요구하는 기대 역할 비교하기 - [관계 리더십]: 팀원 욕구에 맞춘 리더십 피드백 방식과 동기 자극 전략 설계 - [실전 적용]: 리더십 갈등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대화 전략 실습 - [리더십 선언]: 실천 가능한 리더십 변화 한 문장 작성 및 팀 내 공유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상황대응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상황대응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리더십에도 상황이 있다│정답보다 적합함이 중요한 이유 - [리더십 오해 깨기]: 유능한 리더는 하나의 스타일만 고수하지 않는다 - [상황적합 리더십 개념]: 구성원의 능력과 의지에 따라 달라지는 맞춤형 리딩 - [역할 유형 진단]: 현재 나는 어떤 리더십을 사용하고 있는가? - [리더십 2축]: ‘과업 지시 vs 관계 지원’ 균형 조절의 필요성 이해 - [케이스 분석]: 동일한 팀원이지만, 시기마다 필요한 리딩은 달라진다 Ⅱ. 성장단계별 맞춤형 리더십 전략│구성원 성숙도 따라 유연하게 리딩하기 - [성숙도 진단 활동]: 구성원의 업무 역량과 동기 수준 점검하기 - [리더십 4유형]: 지시형-코칭형-지원형-위임형의 차이와 적용 상황 - [스타일별 적용법]: 어떤 상황에 어떤 리더십이 효과적인가? - [실행 플랜 워크숍]: 우리 팀 구성원에게 가장 적절한 리딩 전략 세우기 - [상호작용 중심 실습]: 나와 팀원의 매칭 리더십 설정 후 피드백 실습 Ⅲ. 리더는 ‘끌어주는 사람’이 아닌 ‘맞춰주는 사람’│실천형 리더십 다짐 - [업무 몰입 높이기]: 리더십 조율을 통해 자율성과 책임감 이끌어내기 - [관계 강화 대화법]: 상사-부하 간 신뢰와 소통을 높이는 질문과 피드백 - [성장자본 키우기]: 일방적 통제 대신, ‘위임과 요청’을 활용한 역량 강화 - [마이크로 코칭 활동]: 구성원 성장단계별 코칭 질문 설계 - [리더십 액션 플랜]: 업무상 적용 가능한 리더십 행동 1가지 작성 및 공유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의사결정 리더십 Ⅰ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EMP솔루션 의사결정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함께 생각해보기: 의사결정력을 높여야 하는 이유 - 조직을 리딩하는 것이 왜 어려운 것일까? (case 중심) - 팀장 인더 트랩: 팀장은 언제나 어려운 환경에 놓여져 있다 - 본질과 방법의 구분 - 일상의 업무, 모든 것이 의사결정이다. 의사결정이 미치는 성과의 영향 - 더 나은 인생을 위한 우리의 의사결정 비전, 본질 70%, 방법 30% - 모든 결과의 60% 이상은 리더의 의사결정력에서 나온다 : Good decision making: case study - Simon 의사결정 이론: 의사결정 이론 study Ⅱ. 성공적 의사결정을 위한 Solution : EMP - 양적 의사결정의 어려움 해결: 1E3S 생각 법 - 질적 의사결정의 어려움 해결 - ① Monkey business ② 공 던지기 ③ Mountain View 생각법 - ④ 집단지성 활용법 ⑤ white board effect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의사결정법 - Pop-R 문제해결 의사결정법 - Short Cut 모델 - 문제해결법 : 고르디우스적 문제해결법, 테세우스적 문제해결법, 솔로몬 문제해결법 - 팀원들의 신뢰를 쌓는 법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의사결정 리더십 Ⅱ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팀을 움직이는 결정의 기술! 의사결정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리더의 딜레마 – 결정의 무게를 경험하라 (Reflect & Experience) - 의사결정 스타일 테스트: 나는 분석형 리더일까? 직관형 리더일까? - 실패하는 리더들의 공통점: 잘못된 결정이 초래하는 문제 - 결정의 순간 – 당신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? (🔥 리더의 딜레마 실습) - 리얼 시나리오: 실제 현장에서 벌어지는 의사결정 상황을 제시하고, 그룹별로 토론 후 결정 Ⅱ. 결정의 기술 – 복잡한 상황 속에서 길을 찾아라 (Act & Adapt) - 3초 의사결정법 vs 3일 의사결정법 - "No Decision"의 함정 – 결정을 미루는 리더들의 문제점 - EMP 프레임워크: 의사결정 공식 만들기 E (Eliminate): 불필요한 고민을 제거하라 M (Modify):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라 P (Prioritize): 가장 중요한 요소를 먼저 결정하라 Ⅲ. 강한 리더의 결정 – 신뢰를 얻는 법 (Lead & Influence) - "내 결정, 팀원들이 따를까?" – 설득력 있는 리더의 의사결정법 - 팀을 움직이는 언어의 힘: 리더의 결정이 팀원들에게 전달되는 방식 차이 - 3L 피드백 시스템 (Learn, Loop, Level-Up) - 솔로몬의 지혜: 갈등이 발생했을 때, 공정한 결정을 내리는 방법 - 고르디우스적 해결법 vs 테세우스적 해결법: 빠른 해결 vs 장기적 해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코칭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코칭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리더십의 전환│지시형에서 코칭형으로 - [코칭 vs 지시]: 관리자의 역할을 ‘답 주는 사람’에서 ‘질문하는 사람’으로 전환하기 - [신뢰 기반 구조]: 관계를 유지하는 3R(Role, Rules, Relationship) 중심 정립 - [마이크로매니징 탈피]: 리더의 개입과 지원의 경계 설정 및 권한 위임 포인트 - [실행 리더의 언어]: 팀의 관성·침묵·정체를 흔드는 리더의 한마디 구성 전략 - [리더의 역할 재조명]: '답을 주는 사람'에서 '성장을 이끄는 사람'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Ⅱ. 성장을 이끄는 GROW 모델│실행 중심 코칭 대화 설계 - [질문 구조]: 목표→현황→대안→의지 흐름으로 이어지는 GROW 대화 플로우 - [코칭 대화의 3요소]: 인정 – 질문 – 확신을 담은 리더의 대화 흐름 - [경청력 강화]: 판단 없는 듣기와 요약 피드백의 힘 체감하기 - [질문 스킬]: 업무 몰입을 유도하는 개방형 질문과 확장형 질문 연습 - [GROW 실습]: 상황별 롤플레잉으로 질문의 흐름과 피드백 설계 연습 - [대화 개입법]: 문제 인지형 vs 성장 촉진형 질문의 차이와 구체 문장 설계 Ⅲ. 코칭 문화로 전환하기│리더의 일상적 코칭 루틴 - [1on1 미팅 방법]: 단절 없는 팀 소통을 위한 주간 코칭 대화 방식 소개 - [실천 습관 설계]: 리더의 말·행동에서 코칭 마인드를 녹이는 방법 - [리더별 상황 실습]: 실제 구성원과의 갈등·동기·성과 관련 대화 사례 코칭화하기 - [코칭 내재화 전략]: 조직 내 코칭 문화가 정착되기 위한 리더의 구체 행동 도출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코치형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코치형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질문의 힘│코치형 리더의 대화는 생각을 끌어낸다 - [코칭형 질문]: 답을 제시하지 않고 방향을 묻는 질문으로 리딩하기 - [오픈형 구조]: Yes/No를 넘는 생각 확장형 질문 패턴 익히기 - [감정 리딩]: 표정, 말투, 속도로 드러나는 심리 신호 읽기 훈련 - [응답 툴]: 경청을 넘는 ‘요약-확인-지지’ 코칭형 응답 패턴 연습 - [실습]: 실제 팀 상황에 맞춘 질문-응답 페어 트레이닝 진행 Ⅱ. 긍정 피드백│성장을 돕는 말은 다르게 시작된다 - [긍정 프레임]: 부족함 대신 가능성과 기여도를 강조하는 말 습관 - [DESC 피드백]: 관찰-느낌-요청-결과를 중심으로 대화 흐름 설계 - [쿠션 화법]: 충돌을 부드럽게 완화시키는 ‘완충형 표현’ 익히기 - [나-메시지]: 비난 없이 감정과 요청을 분리하는 화법 구조 적용 - [문장 실습]: 부정상황을 긍정 언어로 바꾸는 표현 훈련 구성 Ⅲ. 리더의 개입력│코치형 리더는 ‘어떻게’ 돕는지를 안다 - [개입 수위]: 도와주는 것과 대신하는 것의 차이 명확히 구분하기 - [성숙도 진단]: 팀원별 업무 수행능력과 동기 수준 분석 도구 사용 - [성장 맵]: 구성원별 맞춤 리더십 유형 매칭으로 일하는 방식 조율 - [안전감 조성]: 실수·의견을 말할 수 있는 분위기 만드는 법 체득 - [코칭 루틴]: 질문→확인→피드백까지의 일상 대화 루틴 설계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동기부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동기부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동기를 설계하는 리더│내재동기와 신뢰의 힘 - [동기부여 진단]: 외재적 보상보다 더 강력한 내재적 동기의 구조 이해하기 - [리더의 질문]: “왜 변화해야 하나요?”에 답할 수 있는 의미 중심 리더십 언어 설계 - [신뢰 기반 동기]: 리더에 대한 신뢰가 동기와 몰입에 미치는 정서적 영향 분석 - [방향 제시 vs 개입]: 간섭하지 않으면서 방향을 제시하는 리더의 언어전략 구성 - [실습]: 슬리도 진단과 리더십 유형 테스트를 통한 나의 동기부여 방식 되짚기 Ⅱ. 존중이 동기를 만든다│정서적 리더십과 공감 전략 - [정서 자극 전략]: 감정 리터러시를 활용한 동기 자극의 흐름 이해하기 - [존중 언어]: 무례하지 않은 말투와 감정에 맞춘 말의 온도 설계하기 - [의미 있는 인정]: ‘칭찬’이 아닌 ‘인정’으로 구성원의 동기를 자극하는 언어 연습 - [공감 리더십]: 동료의 시선에서 상황을 듣고 감정을 명료화하는 공감 스크립트 실습 - [스토리 실습]: 팀원 몰입을 끌어낸 리더의 실제 대화 장면 분석 및 사례 나누기 Ⅲ. 작동하는 동기│실행을 촉진하는 리더의 선택 - [행동 유도 전략]: 자율성·유능감·관계감의 3대 내재동기 조건에 따른 설계 방법 - [미시동기 설계]: 목표를 쪼개고, 즉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마이크로 동기 루틴 구성 - [동기 유지 대화]: ‘처음엔 의욕 있었지만 식은 상태’에서 다시 살리는 회복 대화 - [내면 자극 언어]: “네가 이걸 하면 어떤 의미가 생길까?” 자문형 리더 언어 구성 - [실천 선언]: 팀 동기부여 촉진자로서 리더가 변화할 언어와 태도 1문장 선언 작성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중간관리자 브릿지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중간관리자 브릿지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위아래를 연결하다│중간관리자의 다리 역할을 자각하다 - [리더십 위치 점검]: 중간관리자의 딜레마와 연결자(Bridge)로서의 역할 재정의 - [업무와 사람 사이]: 수직 리더십과 수평 팀십을 동시에 요구받는 현실 해석 - [리더십 파이프라인]: 단계별 리더십 흐름에서 나의 위치와 성장 영역 정리 - [리더십 유형 진단]: 나는 어떤 리더인가? 강점과 약점을 자각하는 질문 공유 - [슬리도 진단]: “나는 위보다 아래가 더 어렵다 vs 반대다” 중간관리자 고민 나누기 Ⅱ. 신뢰를 잇는 기술│브릿지 리더십 실전 전략 - [ABCD 신뢰 모델]: Able, Believable, Connected, Dependable 신뢰 4요소 탐색 - [브릿지 언어 훈련]: 위엔 보고, 아래엔 요청하는 말투와 톤 정리하기 - [신뢰의 심리]: 협업을 무너뜨리는 불신 요소와 회복 커뮤니케이션 전략 - [실전 피드백]: ‘부드러우면서 명확한 요청’을 위한 피드백 언어 스크립트 작성 - [행동 심리 실습]: 상하를 연결하는 상황별 대화 실습과 리더의 감정 조율법 Ⅲ. 한 단계 성장하기│나만의 브릿지 리더십 정립 - [리더십 성장 맵]: 과거-현재-미래 연결을 통한 나의 성장 곡선 시각화 - [상황 대응 전략]: 성과/갈등/회복 상황별 리더십 반응 스타일 정리 - [공감과 통합]: 위의 기준과 아래의 현실 사이를 잇는 통합적 사고 훈련 - [브릿지 선언문]: 팀/본부/리더십 세 축을 잇는 나만의 리더 선언 1문장 작성 - [루틴 설계]: 현장 실천 가능한 ‘브릿지 대화 루틴’과 팀원 피드백 적용법 공유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관리자 브릿지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관리자 브릿지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변화의 중간에서 리더십을 조율하다│관리자의 연결자 역할 - [VUCA 변화 읽기]: 일·사람·세대·고객이 바뀌는 시점, 리더의 시선도 바뀌어야 한다 - [중간관리자의 딜레마]: 위와 아래의 요구 사이, 나만의 리더십 기준 재정의 - [소통의 코드]: 갈등 유형별(구조/이해/관계/다름) 리더의 대응 전략 점검 - [소통 스타일 진단]: 위에는 명확한 보고, 아래에는 신뢰 기반 피드백 언어 설계 - [대화 실습]: 구성원과 마주했던 갈등 대화 상황을 재구성하여 리더 표현 방식 재설계 Ⅱ. 팀을 잇는 신뢰│존중 기반의 브릿지 커뮤니케이션 - [브릿지 역할 정립]: 팀의 룰메이커/테이커/브레이커 중 나의 리더십 포지션 점검 - [존중의 언어]: 위계 아닌 관계에서 작동하는 말투와 감정 톤 조절 전략 - [선한 영향력]: 무게감보다 신뢰감 있는 리더가 주는 긍정 확산 구조 이해 - [신뢰 피드백]: “말해줘서 고마워” “네 시선을 배려할게” 실천 문장 구성 - [감정 공유 루틴]: 슬리도 + 감정 카드 활용한 브릿지 리더의 감정 체크 인 활동 Ⅲ. 함께 가는 리더│브릿지 리더십 실천 설계 - [브릿지 선언문]: 구성원/조직/고객 사이에서 내가 지켜야 할 3가지 다짐 작성 - [실천 루틴 설계]: 회의/면담/보고 속에서 실현 가능한 브릿지 대화 구조 만들기 - [세대 연결 대화]: MZ와의 공감 방식 vs 기성 세대와의 방향 설정 방식 비교 - [조직 공감력 키우기]: 정서 안정과 심리적 안전감 기반의 소통법 체득 - [Warm Closing]: 함께 가는 길에 필요한 리더의 한마디, 포용의 마무리 연습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팀장 리더십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팀장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리더의 기준이 바뀌었다│변화 흐름 속 나의 리더십 점검 - [리더십 패러다임 변화]: 통제형에서 통합형으로, 관찰형에서 코칭형으로 이동하는 흐름 이해 - [리더십 유형 진단]: ICRU 5스타일 진단을 통해 나의 리더십 작동 방식 파악하기 - [MZ세대&하이브리드 팀]: 세대와 기술 변화에 맞춘 팀장의 리더십 재정의 - [글로벌 트렌드]: 변화/서번트/카리스마/상황형 등 다양한 리더십 사례 비교 분석 - [리더십 리포트]: 나는 지금 어떤 기준으로 리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? Ⅱ. 팀장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│리더십 역할과 영향력 - [3대 역할 점검]: Spokesperson, Coach, Direction Setter로서의 역할 분해 - [D&I 관점]: 다양성과 포용성을 기반으로 팀 문화를 형성하는 팀장의 태도 설계 - [통합 사고]: 넓고 멀리 보는 통찰력과 ‘두 입장 모두 이해하는 사고’ 체득 - [코칭 피드백]: 업무·관계·태도에 맞춘 3단계 코칭형 피드백 문장 구성 - [실습]: 팀원이 몰입한 순간 or 이탈한 순간의 리더 역할 분석 및 발표 Ⅲ. 변화를 설계하는 리더│지속 가능한 팀 몰입 전략 - [리마인드 리더십]: 팀원들의 잊힌 동기를 다시 깨우는 ‘감정 중심 동기부여’ 전략 - [심리적 연결]: 신뢰와 감정 안전감을 느끼게 하는 언어 및 비언어 설계 - [몰입 루틴]: 회의·1on1·칭찬·공유 등 팀 운영 내 몰입 구조 설정하기 - [실행 선언]: 팀장으로서 내가 실천할 새로운 언어 한 문장 선언하기 - [피드백 공유]: 팀장들끼리 서로의 리더십 리포트를 읽고 코멘트 주고받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차세대 팀장 브릿지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차세대 팀장 브릿지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실무에서 리더십으로│전환의 첫 걸음 - [정체성 리셋] 플레이어가 아닌 리더로서 팀과 함께 일하는 방식 설계 - [몰입 기반 성과] 성과를 지시 아닌 구조와 분위기로 끌어내는 법 익히기 - [숨은 과업 찾기] 팀장이 챙겨야 할 ‘보이지 않는 일’ 목록화 - [리더십 포지셔닝] 내가 맡은 ‘리더 역할’은 어떤 무게와 의미를 갖는가 - [리더 전환 점검표] 나의 현재 위치와 필요한 변화 요소 점검 Ⅱ. 연결의 리더십│세대 소통과 감정관리 - [요즘 팀원 이해하기] MZ·알파세대의 특징과 자율 동기의 조건 살펴보기 - [심리적 안전감] 갈등을 예방하고 공감의 언어로 팀 신뢰도 높이기 - [피드백 기술] 감정을 살리는 쿠션형 피드백과 1:1 코칭 대화 설계 - [정서지능 의사결정] 감정의 흐름을 읽고 방향을 제시하는 리딩 감각 키우기 - [핫버튼 실습] 구성원의 감정 기폭제와 리더의 응답 언어 체득화 Ⅲ. 나답게 리딩하기│브릿지 팀장의 자기설계 - [롤모델 리플렉션] 기억에 남는 리더의 말과 태도에서 영감 받기 - [나의 리더십 진단] 리더 유형 도구(MBTI, 욕구카드 등)로 자기인식 확장 - [브릿지 액션 플랜] 관계·성과·세대소통을 아우르는 실천안 설계 - [리더 선언문] 나만의 리더십 슬로건을 시각화하고 팀과 공유하기 - [함께 성장 선언] 역할을 넘어 브릿지 리더로서의 방향을 다짐하며 마무리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여성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여성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감성의 무게│공감과 리더십의 재구성 - [감정 리터러시]: 감정을 무시하지 않고 읽고 해석하는 역량 키우기 - [공감의 기준]: 과도한 공감과 전략적 공감의 경계 다루기 - [자기정서관리]: 감정 기복, 내면 흔들림에 대한 통제와 회복력 - [팀 리더십]: 리더의 말투, 표정, 메시지 전달력의 영향 분석 - [여성 리더 사례]: ‘지금 여기’ 여성 리더들의 리얼 경험 나눔 Ⅱ. 관점 전환│여성 리더로서의 자기 해석 - [ME vs WE]: 개인의 성장과 조직의 목표 사이 균형감 키우기 - [리더 정체성 탐색]: 나는 어떤 방식으로 팀을 이끄는가 질문 던지기 - [성장 맵핑]: 과거-현재-미래의 연결고리로 나의 방향 정리하기 - [수용의 리더십]: ‘다름’을 ‘틀림’이 아닌 ‘기회’로 바꾸는 시선 훈련 - [다중 역할 조율]: 엄마, 딸, 구성원, 리더…복합 역할 속 우선순위 설정 Ⅲ. 여성다움의 확장│다르게 말하고 더 넓게 이끄는 힘 - [언어의 전략]: 단호하지만 부드러운 리더의 말 습관 만들기 - [리더십 코드]: 에토스, 파토스, 로고스를 바탕으로 한 영향력 발휘 - [자기설득력]: 나를 먼저 납득시키는 말하기 루틴 훈련 - [휴먼터치 리더십]: 정서적 지지를 주는 리더의 존재감 세우기 - [긍정적 확산]: 개인의 힘을 공동체적 영향력으로 전환하는 코칭형 피드백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조직 문화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조직 문화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조직의 속도보다 방향│디지털 전환기 문화 읽기 - [조직문화 리터러시]: 우리가 ‘일하는 방식’에 숨겨진 문화 요소 들여다보기 - [사례 기반 탐색]: 넷플릭스, 아마존, SAS 등 글로벌 조직문화 키워드 분석 - [우리조직 해석]: 수직구조, 침묵, 피드백 부재 등 문화적 한계 언어화 - [문화의 쓸모]: 성과와 지속가능성을 가르는 결정적 요소로서의 문화 - [질문]: 조직 내 ‘이렇게 해왔으니까’라는 관성이 작동하는 지점은 어디인가 Ⅱ. 변화에 앞서 안전감│리더가 만드는 심리적 기반 - [심리적 안전감]: 실패에 대한 처벌이 아닌 학습으로 연결되는 구조 만들기 - [허드슨강 기적]: 안정된 팀문화가 극한 상황에서 발휘된 리더십 사례 - [리더의 언어]: 위기·갈등 상황에서 사용되는 말버릇과 정서 전달력 점검 - [역할 재해석]: 구성원의 목소리를 ‘정보’로 수용하는 수평적 대응법 익히기 - [Action Plan]: 심리적 안전 기반의 회의, 피드백, 협업 운영 방식 설계 Ⅲ. 문화는 결국 행동│리더의 태도가 만드는 변화 - [행동의 리터러시]: 조직문화는 ‘문서’가 아니라 ‘행동’으로 전파되는 구조 - [패턴 전환]: 반복되는 조직 내 말·행동 패턴의 배경 해석 및 실천적 전환 - [리더의 영향력]: 나의 한마디가 팀원들의 행동을 바꾸는 지점 진단 - [컬처 브랜딩]: 문화는 외부에 보이는 우리의 태도에서 결정됨 - [조직문화 실천전략]: 각 팀/지점 맞춤의 문화 어젠다 수립 및 실천 작성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조직 비전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조직 비전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행동보다 동기를 읽어라│사람은 무엇으로 움직이는가 - [몰입 심리 분석]: 성과보다 의미가 조직을 움직이는 이유 - [Plug-in 실패 사례]: 개인과 조직이 따로 노는 3가지 단절 요인 - [비전/미션/성장]의 재해석: 보여주기용 아닌 체감 가능한 내재화 설계 - [연결의 조건]: 일-사람-조직을 엮는 공통 접점(Joint Point) 찾기 - [사례 토의]: 구성원의 동기를 깨우는 리더의 질문은 무엇인가? Ⅱ. 보이지 않는 것을 보다│Unseen을 이해하는 조직 - [관계 리더십 시선]: 잘하는데 불만 많은 직원, 무기력한 실무자의 심리 - [Unseen 요소 탐색]: 우리 조직 안에서 놓치고 있는 작지만 중요한 장애물 - [MVCS Map 진단]: Seen-Unseen 섹터 구분 후 조직 내 단절 요인 추출 - [조직 진단 게임]: 문제 행동 뒤에 숨어있는 감정/환경/구조적 요인 찾기 - [Action Plan]: 내가 놓치고 있던 Unseen 요소 1가지 대화 계획 수립 Ⅲ. 가치를 실천으로 바꾸는 전략│나와 조직의 MVC 연결 - [내 MVC 리터러시]: 나의 동기와 조직의 가치 연결 상태 점검 - [Personal Hot Button]: 구성원 별 개인화된 의미 찾기 - [공감 중심 커뮤니케이션]: 나의 MVC를 타인과 나누는 대화법 - [Joint Point 실습]: 팀원과 조직의 목표를 연결하는 키워드 도출 - [실천 피드백]: 조직 구성원들과 함께 설정한 가치 기반 실천 약속 공유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조직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조직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관점이 먼저다│관리자는 일보다 마음을 다룬다 - [관리 리터러시]: 실무 중심 관리자에서 관계 조율자로의 정체성 재정립 - [3가지 리더 자극 요소]: 위임, 관심, 인정이 만드는 팀원 몰입 메커니즘 - [시선 바꾸기]: 팀원의 말과 행동 뒤에 숨은 ‘욕구’와 ‘불안’ 읽기 - [구성원별 스타일]: 실행형, 회피형, 공감형 등 행동 성향별 리더십 대응법 - [토의]: 관리자로서 팀원의 실패/무기력에 내가 주는 반응 되돌아보기 Ⅱ. 피드백이 문화를 만든다│일 잘하는 조직의 언어 습관 - [조직 언어 진단]: ‘혼냈다’와 ‘말했다’ 사이, 관리자의 말버릇 점검 - [건설적 피드백 구조]: YES-AND 화법, 쿠션화법, 코칭 질문 활용 - [피드백의 심리]: 행동보다 마음을 변화시키는 비판·칭찬의 기술 - [관리자 화법 실습]: 구성원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말의 무게 체험 - [Action Plan]: 내가 자주 쓰는 언어 3가지 수정 및 새로운 피드백 대사 작성 Ⅲ. 실무+정서+문화│복합적 관리자 역량 설계 - [TA/MBTI/성향 카드]: 팀원들과 나의 성향 차이 이해 및 활용 전략 - [멀티관리 프레임]: 성과 관리 + 정서 관리 + 조직문화 3중 관리 포인트 - [심리적 안전관리]: 팀 분위기 조율, 갈등 완화, 불안 완충자로서의 역할 - [조직문화 연결]: 구성원 경험의 일관성 유지로 신뢰감 형성하기 - [실천과제]: 나만의 조직관리 미션 1가지 도출 및 월별 실행계획 수립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리더의 구성원 육성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리더의 구성원 육성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리더는 관찰자다│구성원 유형을 읽는 안목 - [리더십 에피소드]: 내가 받은 피드백 중 가장 성장했던 순간 - [Team Insight 카드]: 성향/태도/역량을 바탕으로 한 구성원 유형 진단 - [판단 기준 정리]: 능력 vs 동기 구분, 성장 가능성 판단 기준 - [Action Plan]: 구성원별 관찰 포인트와 육성 전략 수립 Ⅱ. 리더는 맞춤 전략가다│성장 곡선을 설계하는 법 - [사례분석]: 동일한 구성원, 다른 반응을 끌어낸 리더의 방식 - [관계 레벨별 접근]: 밀착형 vs 자율형 육성 전략 수립 기준 - [실천 과제 매칭]: 수준에 맞는 과제 부여 방식과 피드백 리듬 - [실전 구성]: 나의 구성원에 맞춘 실천 액션 설계 & 실행 다짐 Ⅲ. 리더는 대화가 다르다│원온원 미팅과 피드백 기술 - [미팅 설계법]: 오프닝-중심 질문-성장 목표 도출-마무리 흐름 설계 - [일상 대화 → 성장 대화]: 감정 다루기, 방향 제시, 경청 중심 흐름 - [실습] 피드백 시나리오별 바람직한 문장 리뉴얼 - [실습] 다양한 상황별 원온원 미팅 대사 플로우 설계 - [나의 실천 문장]: 다음 주 바로 사용할 미팅 대화문 & 피드백 문장 정리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협업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360도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협업이 어려운 이유│혼자보다 힘든 ‘같이’의 시작 - [관점 전환]: 협업은 왜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가? - [실패 원인 분석]: 협업 실패를 부르는 3가지 요인 - [케이스 스터디]: 잘된 협업과 엇갈린 협업 사례 비교 - [심리적 요인]: 협업에서 일어나는 감정 충돌과 신뢰 저하 메커니즘 - [Action]: 내 조직의 협업 현황 진단 & 개선 포인트 설정 Ⅱ. 협업의 언어│서로 다른 동료와 연결되는 대화법 - [협업의 문장]: 결과 중심 vs 관계 중심 대화의 차이 - [유형별 대화 스타일]: 신중형/주도형/친화형/분석형과 소통법 - [실습] 협업 상황에서의 피드백, 요청, 갈등 대화 리디자인 - [상황별 메시지 설계]: 회의, 보고, 피드백, 제안 등 실전 중심 구성 - [Mini Lab]: 대화 실험으로 배우는 협업 커뮤니케이션 Ⅲ. 협업을 설계하다│준비-실행-유지의 구조화 - [REM 전략]: 관계(R), 실행(E), 유지(M) 3단계 구조 이해 - [준비]: 협업 목표 정렬, 공동의 룰 만들기, 감정 공간 확보 - [실행]: 역할 명확화, 공동 책임 구조, 협업 툴 적용 - [유지]: 피드백 루틴, 신뢰 강화, 협업 회고 - [Action Plan]: 다음 협업에서 바꿔볼 나의 전략 1가지 설계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360도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360도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360도 리더십의 조건│방향성과 소통력을 갖춘 리더 - [360도 정의]: 위-아래-동료-외부로 확장되는 리더십 반경 - [자기 진단]: 영향력을 만드는 5요소 – 방향성 / 보좌력 / 실행력 / 소통력 / 유연성 - [관계 유형별 리더십 전략]: 상사, 동료, 부하직원 각각의 대응 포인트 Ⅱ. 수평 리더십의 기술│관계 중심의 팔로워십 발휘 - [구성원 분석]: 5가지 팔로워 스타일과 그에 맞는 동기 부여 - [리더 행동 분석]: 보좌하기 vs 이끌기 행동 전략 - [상호작용 실습]: Feed-forward vs 건설적 대화 실습 - [사례 분석]: 관계에서 힘을 얻는 리더와 잃는 리더의 차이 Ⅲ. 수평 협업의 리더십│규칙, 조율, 갈등 관리 - [수평 리더의 과제]: 협업 규범 설정, 요청 방식의 조율, 피드백 루틴 설계 - [협업 규칙 만들기]: 서로 다른 입장과 기대를 정렬하는 방법 - [실전 노하우]: 피드백/요청/의견 대립 시 상황별 메시지 디자인 - [미니 액션플랜]: 나의 팀에서 적용 가능한 협업 문장 만들기 Ⅳ. 영향력 발휘 전략│설득과 공감으로 이끄는 리더 - [리더십 차원]: 권한 기반 vs 설득 기반 영향력 차이 - [5가지 영향력 전략]: 동조/이유 제시/참여 유도/비교 사례/공감 강화 - [마무리]: Let go / Preserve / Add on 전략으로 나의 영향 반경 재설계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성과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성과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성과는 방향이 만든다│불확실성 속 목표 세우기 - [성과관리 WHY]: 관리자와 구성원이 바라보는 성과의 간극 - [트렌드 진단]: MBO 대신 OKR, KPI 대신 핵심 결과 기반 문화 확산 - [Plan–Do–See+]: 선행지표 중심 목표설정과 성과예측의 기술 - [목표 매핑]: 비전·전략에서 팀과 개인 과제로 연결하는 구조 설계 - [실습] 조직 목표로부터 나의 역할 정의하고 3단계 목표 재설계 Ⅱ. 공정성이 성과를 만든다│성과관리의 심리적 장벽 - [성과 불신 요인]: 납득 못할 목표, 비교 중심 평가, 감정적 피드백 - [구성원 시선]: ‘왜 나만?’, ‘이게 공정한가?’에 대한 인식 분석 - [업무 분배 전략]: 역량과 성장 포인트를 고려한 코칭형 분배 - [피터드러커 재해석]: 측정의 도구가 아닌 몰입의 프레임으로 전환 - [실습] 구성원이 신뢰하는 성과 기준 만들기 (슬라이도 활용 토의) Ⅱ. 공정성이 성과를 만든다│성과관리의 심리적 장벽 - [성과면담 준비]: 점검 목적 vs 성장 목적 구분하고 대화 설계 - [중간 점검 언어]: 조율·제안·선택 유도 중심의 코칭형 대화 구조 - [평가와 피드백]: 칭찬/지적을 넘어서 ‘함께 보기’ 중심 언어 연습 - [4단계 피드백]: 비전 공유 → 진단 → 협의 → 합의의 흐름 설계 - [실습] 나의 피드백 언어 점검 후, 리디자인 실습 워크시트 진행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KPI 성과관리 리더십Ⅰ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KPI 성과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KPI는 ‘나’와 연결되어야 한다│성과관리는 시작이 아닌 연결의 기술 - [업무 퍼즐 맞추기]: 나의 일이 어디로 이어지는지 구조 이해 - [숫자보다 흐름]: 성과지표 이전에 ‘중요한 행동’ 재정의 - [KPI 공감 실습]: 팀 미션 목표에서 나의 일 매핑하기 - [성과의 의미화]: 일의 보람 vs 성과 수치 간 균형 다루기 - [토론] ‘성과 관리’에 대한 감정과 인식 공유로 심리 장벽 낮추기 Ⅱ. KPI는 말이 아닌 숫자로 설득한다│성과를 수치로 표현하는 연습 - [성과 표현 퀴즈]: 정량·정성 지표 OX와 수치 감각 퀴즈 - [보고서 비교]: KPI 없는 보고서 vs KPI 있는 보고서의 설득력 - [하루 분석 실습]: 나의 일과를 수치화하고 지표화해보기 - [업무 위치 찾기]: 팀 KPI 지도를 바탕으로 내 업무의 위치 점검 - [토의] KPI가 빠진 조직 보고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도출 Ⅲ. KPI 설계의 뼈대, SMART│막연한 목표에서 벗어나는 실전 - [SMART 진단]: 애매한 목표를 SMART 기준으로 진단하기 - [전환 훈련]: 목표 문장 리디자인 – ‘좋다’를 ‘어떻게’로 바꾸기 - [목표 구분 실습]: 좋은 목표 vs 애매한 목표 분류 게임 - [SMART 문장 만들기]: 실무 중심 KPI 문장 작성 후 공유 - [피드백 설계]: KPI 피드백 시 유의할 표현과 설득형 화법 소개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KPI 성과관리 리더십 Ⅱ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KPI 성과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Ⅳ. KPI, 다시 설계한다면?│성과를 설계하는 첫걸음 - [챌린지 실습]: 우리 팀 KPI 항목을 새롭게 만들어보기 - [교환 워크]: KPI를 교환하고 피드백 주고받기 - [숫자 너머 읽기]: 단순 수치에 숨겨진 진짜 의미 찾아보기 - [KPI 리디자인]: 작은 변화로 큰 임팩트를 만드는 KPI 구조화 - [토의] KPI가 실제 현장에 작동하지 않는 이유 분석 Ⅴ. 성과평가, 모두 납득할 수 있으려면│공정성은 신뢰의 조건 - [불만 사례 진단]: 평가 불만 사례를 읽고 공정성 기준 토론 - [콜라보 실습]: 좋은 vs 나쁜 피드백 문장 구분하기 - [조직 설계]: 평가 기준이 바뀐다면? 가상의 조직 개편 설계 - [평가 키워드 만들기]: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 언어 만들기 - [공감 지도 그리기]: 평가가 끝난 후 나오는 구성원의 말 탐색 Ⅵ. 실행이 KPI를 완성한다│성과는 계획된 행동의 결과 - [스티커 보드 실습]: 실행계획 B.O.D.I 요소를 시각화 - [실행 선언]: KPI 실행계획 작성 및 실행 다짐 한 줄 정리 - [발표 & 뱃지]: KPI 실행을 위한 개인 발표와 팀 대표 선정 - [베스트 공유]: 실행력 높은 KPI 사례 전시회 운영 - [스티커 클로징]: 오늘 내가 실천할 한 줄 목표 붙이기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성과.목표 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성과.목표 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달성 가능한 목표를 만드는 법칙 │ SMART 기준의 전략적 설계 - [핵심 이슈]: 달성 가능성/ 난이도/ 정성 지표 고려한 목표 설계 요소 분석 - [SMART 기준]: 명확하고 구체적인 KPI 도출 실습 및 오류 피드백 훈련 - [AR 기준]: 실행력 높은 목표 문장 작성과 달성가능성 진단 - [성과계획]: 5단계 프로세스 기반 목표계획 및 실행 로드맵 설계 - [실전 적용]: 팀별 목표 설정 초안 작성 후 Slido 공유 및 발표 Ⅱ. 공정한 평가가 만드는 몰입 │ 성과관리와 피드백의 심리학 - [평가 불신 요인]: 구성원이 수용하지 못하는 평가의 원인 분석 - [공정성 조건]: 기준의 합리성, 절차의 투명성, 상호작용 공정성 이해 - [성과관리 10대 이슈]: 모두가 만족할 수 없는 평가의 한계와 대안 제시 - [BODI 정리]: 업무지시 명확화를 위한 구조적 언어 정리법 코칭 - [심리적 오류]: 평가시 자주 발생하는 편향과 리더의 대응 전략 Ⅲ. 피드백이 문화를 만든다 │ 결과관리와 리더십 연결 - [피드백 루틴]: 성과관리와 연계된 회고 문화 설계 가이드 제공 - [업적과 역량]: 성과 평가의 5가지 원칙과 업적/역량 기준 이해 - [사례 분석]: 성과 측정 도구와 점수 배분 방식에 대한 실무 리뷰 - [리더의 태도]: 평가 결과 전달 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포인트 정리 - [집단 토의]: 우리 조직에 필요한 성과관리 방식 진단 및 대안 도출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실전 성과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Synergy Trigger 실전 성과관리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시스템보다 중요한 건 소통 │ 성과관리의 HOW TO 설계 - [성과 인식 전환]: 시스템은 도구, 사람이 움직이게 만드는 언어가 핵심 - [공통 언어 만들기]: 개인과 조직의 ‘조인트 포인트’ 찾고, 의미 연결하기 - [Alignment 코칭]: 조직 비전과 팀 목표를 연결하는 내러티브 설계 - [목표 설계]: CBA 기준으로 도전적이되 실행 가능한 목표 세우기 - [성장 에너지]: 목표 수립의 과정에서 동기 자극하는 질문 코칭 활용 Ⅱ. 평가가 몰입을 만든다 │ 실무 중심 피드백과 평가 기준 설계 - [평가 원칙 정리]: 공식성과 일상의 균형, 피드백-공유-기록의 루틴 만들기 - [공정한 피드백]: 상대평가·절대평가 기준과 활용 시점 구분하기 - [정성 평가]: 성과보다 과정의 태도, 소통, 협업을 읽는 시선 강화 - [리더의 설계자 역할]: 평가가 곧 메시지라는 점에서 커뮤니케이션 설계 필수 - [보상 연결]: 금전 보상 외에도 경력, 성장과 연결되는 보상 시나리오 만들기 Ⅲ. 실천 없는 평가는 없다 │ 마무리 설계와 성찰 문화 - [SELF Wrap-up]: 교육생의 성찰 정리, 실천 문장으로 마무리 구조 설계 - [피드백 실습]: 1on1 코칭 시뮬레이션, 평가자의 질문력 훈련 - [적용 플랜]: 팀 단위 실천 플랜 설계 후 공유 및 리더 코멘트 피드백 - [Q&A와 정리]: 성과관리 리더십의 핵심 메시지와 요약 리마인드 - [현장 리포트]: 현업 적용을 위한 액션카드 및 리마인드 키워드 작성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OKR 성과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OKR 성과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왜 OKR인가? │ 성과관리의 새로운 시선과 리더의 역할 - [평가 vs 성장]: 기존 KPI의 한계에서 벗어나 성장 중심 사고 전환 - [Objective]: 방향성과 비전을 담은 OKR의 핵심 구조 이해 - [Key Results]: 실행력 확보를 위한 결과 중심 성과지표 설계 - [보상 연계]: 현실적인 한계와 팀 몰입 유도를 위한 보상 연결 논의 - [리더십 관점]: OKR을 설계하고 정착시키는 리더의 코칭 역할 정립 Ⅱ. 실천하는 목표 │ 작성 실습과 피드백 기반 정렬 활동 - [구체화 실습]: 부서/팀 상황에 맞춘 OKR 구성안 초안 작성 - [피드백 루틴]: 동료와의 상호 피드백을 통해 정렬과 실행 가능성 점검 - [실전 언어]: 팀원 눈높이에 맞춘 실천 언어로 OKR 문장화 - [작성법 정제]: 의미와 측정이 살아있는 OKR 표현 가이드 제공 - [토의 기반 공유]: 사례와 실습 결과를 토의하며 전사 정렬 방향 탐색 Ⅲ. 실행과 문화로 연결하기 │ OKR 운영 전략과 지속 루틴 설계 - [루틴 만들기]: 분기/월 단위 운영 주기와 점검 체크리스트 구성 - [커뮤니케이션]: 팀 OKR을 실무와 연결하는 워크시트 및 회의 전략 - [마인드셋 전달]: 실패 없는 OKR은 없다, 실패를 성장 자원으로 전환 - [공유문화 조성]: 팀원 간 OKR 공유를 통한 몰입 환경 만들기 - [포지셔닝 강화]: OKR 리더로서 실행문화 정착을 위한 역할 선언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성과·팀·변화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성과·팀·변화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눈에 보이지 않는 힘 │ 리더십의 숨은 영향력 설계 - [보이지 않는 리더십]: 직책보다 강한 심리적 리더의 존재감과 권력의 법칙 - [신뢰 언어]: 상호작용의 질을 바꾸는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- [펜듈럼 법칙]: 팀의 에너지 진폭을 다루는 감정 리더십 이해 - [비가시적 영향력]: 강요 없이 팀을 움직이는 설득의 구조 - [정체성 탐색]: 나는 어떤 리더인가? 리더로서의 방향성과 언어 탐색 Ⅱ. 팀 에너지의 흐름을 읽다 │ 갈등부터 동기까지 - [성과는 여정]: 결과보다 과정 중심의 성과 전략 4단계 - [심리적 팀 관리]: 불안과 무기력 대신 몰입과 동기 이끌기 - [갈등 전환법]: 갈등을 성장 촉진 도구로 전환하는 리더의 피드백 전략 - [심리적 안전감]: 소통 단절을 만드는 두려움 해소하고 신뢰 기반 구축 - [감정 다루기]: 조직 내 감정 리터러시와 팀 분위기 조율력 키우기 Ⅲ. 변화하는 조직을 리딩하라 │ 성장 마인드셋과 리더의 태도 - [마인드셋 전환]: 고정 vs 성장 마인드, 실천을 만드는 리더의 프레임 - [회복탄력성]: 버텨내는 게 아닌, 회복력 기반의 유연한 리더십 구축 - [변화 추동력]: 변화 저항을 줄이고 혁신을 부드럽게 유도하는 설계법 - [내·외적 동기 활용]: 나를 먼저 리드하고 팀의 동기까지 확장시키기 - [일의 의미 찾기]: 개인과 조직의 가치 일치를 통한 몰입 전략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변화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변화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리더는 연결자다 │ 요즘 변화에 필요한 리더십 패러다임 - [정서의 변화 먼저]: 행동의 변화보다 깊은 내면 전환을 설계하는 리더의 역할 - [요즘 리더 진단]: 리더십 스타일 체크 및 자기 인식 테스트 - [변화 키워드]: 생존이 아닌 성장의 이유를 조직에 말하는 힘 - [연결의 리더십]: 사람과 사람, 일과 사람, 조직과 나를 잇는 다리 - [신뢰 기반 협업]: 결과보다 협업의 질로 평가받는 시대의 성과 기준 Ⅱ. 리더의 얼굴은 다섯 가지 │ 실천적 변화 리더의 유형과 역량 - [5faces 리더십]: 변화 추진 시 나타나는 다섯 가지 리더의 스타일 1) Innovator – 실험과 도전 2) Challenger – 불편한 질문 3) Supporter – 관계 중심 4) Communicator – 메시지의 힘 5) Energizer – 조직의 분위기 메이커 - [신념과 방향성]: 나만의 리더십 태도와 조직 내 영향력 탐색 - [성공 사례 리마인드]: 연결·공감 기반 리더십의 실제 조직 변화 사례 Ⅲ. 조직문화를 리딩하다 │ 변화관리와 문화 수렴의 기술 - [끌림의 힘]: 구성원을 움직이는 정서적 동기 설계 - [리더의 존중재정의]: 권한보다 영향력, 말보다 관계로 설득하기 - [문화는 리더의 그림자]: 변화는 시스템보다 사람이 만드는 것 - [양질의 조직문화]: 단단한 몰입과 협업이 일어나는 변화 친화적 환경 설계 - [조직 리듬 맞추기]: 일하는 방식, 회의, 피드백까지 문화 기반으로 바꾸는 전략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DTL 변화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DTL 변화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변화는 감각이다 │ 디지털 전환 시대, 리더의 감각을 리셋하다 - [변화 촉각 ON]: 기술보다 먼저 감지해야 할 정서·관계·문화의 미세한 변화 - [Push 아닌 Pull 리더십]: 끌어당김의 리더십 설계 (신뢰·관계·공감 중심) - [관점 전환 스위치]: 관찰자 시점에서 고객, 구성원, 상사의 관점으로 확장 - [DTL 리더의 루틴]: 변화 시그널을 일상에서 감지하고 전파하는 리더의 습관 - [변화 장벽 허물기]: 익숙함을 버리고 실험하는 조직 만들기 Ⅱ. 나는 어떤 변화형 리더인가 │ 리더십 스타일 X 디지털 감수성 셀프 인사이트 - [스타일 진단]: 5가지 변화 리더 유형으로 나의 강점 탐색 ① 주도형(행동지향): 결단력과 영향력으로 변화를 리딩 ② 유연형(감성지향): 공감과 민감한 감각으로 관계 중심의 리딩 ③ 집중형(분석지향): 데이터 기반의 실천 설계자 ④ 개방형(관계지향): 관계 중심의 창의적 탐색자 ⑤ 방어형(현실지향): 조직 내 위험과 질서를 관리하는 안정적 리더 - [디지털 감수성]: 리더의 말·행동·신호가 미치는 디지털 파장 체크 Ⅲ. 실천이 변화다 │ 지속가능한 변화 루틴 만들기 Action Planning - [나의 변화 설계도]: 개인 맞춤형 변화 키워드와 리더십 슬로건 만들기 - [작은 실행이 큰 변화로]: 업무 루틴 속 실천 가능한 변화 미션 설계 - [공유와 전파]: 실천 의지를 높이는 피드백&선포 전략 - [DTL 리더 선언]: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변화 이끄는 실행 리더의 자세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습관 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습관 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리더의 하루 │ 리더십은 ‘루틴’으로 드러난다 - [습관의 힘]: 무의식적 행동이 팀에 미치는 파급력 - [관찰되는 리더십]: 구성원이 먼저 체감하는 리더의 작은 반복 - [리더의 시간 사용법]: 중요-긴급 매트릭스를 넘어서는 시간 철학 - [의사결정 루틴화]: 반복되는 판단에 기준을 담아내는 방법 - [기분보다 리듬]: 컨디션보다 일관성을 만드는 감정관리 습관 Ⅱ. 영향력의 일상화 │ 성과를 부르는 리더의 습관 - [성공 루틴의 공통점]: 일 잘하는 리더의 3가지 반복 행동 - [피드백의 루틴]: 타이밍과 형식이 조직 문화를 바꾸는 순간 - [회의 루틴]: 공감과 몰입을 유도하는 회의 준비와 진행 습관 - [격려와 칭찬의 언어]: 리더의 언어 습관이 조직의 온도를 만든다 - [습관 셋팅 전략]: 나쁜 습관은 없애고 좋은 습관은 시스템으로 바꾸기 Ⅲ. 습관 전이의 기술 │ 리더의 루틴이 팀의 문화가 되는 순간 - [습관은 전염된다]: 리더 한 사람의 변화가 팀 전체에 미치는 영향 - [거울 신경세포]: 구성원은 리더의 말보다 행동을 따라간다 - [루틴의 공유]: 리더의 습관을 팀원과 연결하는 문화 코딩 - [습관 실천 플랜]: 나만의 리더 루틴 정의 및 실천 선언 - [작은 루틴 챌린지]: 구성원과 함께 만드는 ‘함께하는 습관’ 캠페인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FLOW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FLOW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팀 몰입을 가로막는 것들│몰입을 방해하는 리더의 말과 태도 - [과잉 간섭 vs 방치]: 리더의 개입 정도가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- [몰입의 적] 비교, 비난, 다그침, 목표 부재, 일관성 없는 태도의 실체 파악 - [주의 전환 요인] 메신저, 회의, 즉흥적 업무지시가 몰입을 끊는 방식 이해 - [감정 에너지 고갈] 구성원이 방전되는 순간을 인지하는 리더의 감성 민감도 - [리더의 피드백 톤] 피드백의 방식이 업무집중 흐름을 어떻게 바꾸는지 사례 중심 접근 Ⅱ. 몰입을 부르는 조건들│FLOW 이론 기반 몰입 리더십 - [몰입의 3요소] 명확한 목표, 피드백, 도전과 능력의 균형 조건 설명 - [도전/능력 매칭] 업무 난이도와 구성원의 성장 단계 조율하는 리더의 코칭 - [미션 중심 팀 운영] 일의 의미와 목적을 중심으로 동기 설계하는 리더십 방식 - [업무 설계] 몰입 흐름 유도를 위한 시간 관리, 회의 방식, 실적 공유법 - [몰입 존 유도] 팀의 몰입 흐름(FLOW ZONE)을 만드는 3단계 피드백 전략 Ⅲ. 몰입 조직의 일상 만들기│리더의 하루가 몰입을 만든다 - [루틴화 전략] 몰입을 유도하는 리더의 반복 행동과 긍정 루틴 설계 - [몰입 문화 설계] 칭찬의 타이밍, 리듬 있는 목표 조정, 성과 스토리 공유 등 - [몰입 회의법] 몰입도 높은 회의를 위한 사전 설계, 질문법, 시간 배분 기준 - [회복 탄력 설계] 팀의 몰입을 유지하기 위한 리더의 정서적 회복 코칭 전략 - [몰입 리더의 실천계획] 나의 변화 루틴을 설계하는 액션 플래닝 작성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AI 공존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AI 공존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AI 시대의 리더는 무엇이 다른가│변화에 적응하는 리더의 사고방식 - [AI 리터러시]: 알고리즘 기반 사고를 이해하고 질문하는 리더의 기본소양 - [기술 수용 곡선]에 따른 조직 구성원의 반응 이해 및 맞춤형 대응 전략 - [리더의 질문력] ChatGPT·AI툴을 활용한 지식 확장형 질문 설계법 - [인간 중심 리더십] 공감력, 윤리의식, 직관의 가치가 더 중요해지는 이유 - [사라지는 업무 vs 새로 생기는 역할]: 리더가 맡아야 할 메타적 조정 역할 정립 Ⅱ. 기술과 감성의 균형│AI와 공존하는 사람 중심 조직문화 - [하이브리드 팀 운영] 사람+AI가 함께 일하는 조직의 업무 재설계 전략 - [심리적 안정감 확보] 데이터 기반보다 ‘의미 중심’ 피드백이 중요한 이유 - [신뢰 알고리즘] 투명한 의사결정과 공정성이 리더십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방식 - [디지털 피로감 완화] 툴의 효율과 인간의 에너지 사이 균형 설계 - [AI와 협업하는 리더의 태도] 조작자가 아닌 동반자 시선으로 바라보기 Ⅲ. AI 시대의 리더 실천전략│새로운 영향력을 설계하는 방법 - [변화 대응 전략] 고정 마인드에서 성장 마인드로 전환하는 리더의 언어 - [AI 코칭 실험] 구성원과 AI를 동시에 코칭하는 리더의 피드백 실험기 - [미래 업무 설계] 인간+AI가 함께 만드는 일의 미래 상상하고 구체화하기 - [리더의 에이전트 역할] 문제 해결자에서 촉진자·의미 설계자로의 진화 - [나의 AI 리더십 선언문] 리더로서 기술과 사람 사이에서 지켜야 할 가치 선언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갈등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갈등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갈등은 왜 반복되는가│감정의 구조와 반응 패턴 - [갈등 정의 새롭게 보기] 갈등은 '의견 차이'가 아닌 '관계적 의미의 충돌' - [핵심 감정 탐색] 분노 뒤에 숨은 감정과 욕구 읽기 (공포, 상처, 무력감 등) - [반응 패턴 진단] 방어적 대응/공격적 대응/회피적 대응의 공통점과 결과 - [심리적 안전] 감정이 수용되지 않을 때 조직문화가 망가지는 메커니즘 Ⅱ. 갈등을 유형별로 읽기│사람 vs 문제 분리 전략 - [관계형 vs 절차형] 사람 중심 갈등과 프로세스 중심 갈등 분리 기준 - [정체성 기반 갈등] 나를 지키기 위한 갈등일 때 vs 집단의 갈등일 때 - [욕구 분해] 지배 욕구 / 인정 욕구 / 소속 욕구 / 자율 욕구 분석 - [상황별 전략 매핑] 수직 갈등 vs 수평 갈등 vs 타 부서 갈등 대응법 - [조직내 갈등 매트릭스] 구성원 간, 팀장 간, 외부 파트너와의 갈등 흐름 도식화 Ⅲ. 해결로 가는 대화│4단계 갈등 피드백 솔루션 - [1단계: 감정 명명] 말로 표현된 것이 아닌, 말 뒤의 감정 단어 인식하기 - [2단계: 욕구 탐색] 문제 제기보다 욕구 진단이 먼저인 이유와 질문법 - [3단계: 공감 피드백] 상대의 감정·욕구를 명확히 반영하는 수용 대화 구조 - [4단계: 협력적 합의] Win-Win을 위한 행동 요청 및 실행 약속 설계 - [4단계: 협력적 합의] Win-Win을 위한 행동 요청 및 실행 약속 설계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TKI 유형별 갈등관리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TKI 갈등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나는 어떤 갈등 스타일인가│TKI 5가지 유형 진단과 이해 - [진단 도구 활용] 경쟁, 회피, 수용, 타협, 협력 5가지 유형별 자기 점수 확인 - [자기 인식] 내가 선호하는 반응과 감정 패턴 확인, TKI 스타일 그래프 분석 - [유형별 특징] 각 유형의 강점과 단점, 조직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리스크 - [조직 갈등 사례 분석] 같은 상황 다른 반응! TKI 유형별 실전 사례 토의 Ⅱ. 갈등의 흐름 읽기│조직 내 갈등유형 매핑 - [수직적 갈등 vs 수평적 갈등] 직급·세대·직무 갈등의 본질 분류 - [업무형 vs 관계형 갈등] 절차 중심 갈등과 감정 중심 갈등 구분법 - [갈등 촉진 요소] 책임 회피, 모호한 지시, 미해결 피드백, 공정성 이슈 등 - [갈등 시나리오 워크시트] 갈등 흐름 추적 + 유형별 갈등 상황 그리기 Ⅲ. 유형별 대화 전략│공감 중심 갈등 대응 화법 - [모드별 대화 전략] 회피형에게는 명료성, 경쟁형에게는 공감적 피드백 - [브릿지 커뮤니케이션] 나-메시지, 느낌카드, 욕구 언어 활용 실습 - [실전 피드백 설계] 대화 속 감정 읽기 → 의도 파악 → 응답 방식 맞춤화 - [솔루션 스위칭] 갈등 전환을 위한 ‘말하기→듣기→합의’ 3단계 전환법 - [실습] 나의 TKI 유형으로 최근 갈등 상황을 재설계하고 피드백 훈련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위기관리(Risk management)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위기관리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위기는 어떻게 시작되는가│리스크 징후와 조직 내 해석 - [위기의 실체] 기업은 무엇 때문에 무너지는가? 유형별 위기(업무, 조직문화, 외부환경 등) - [위기의 조짐] 문제보다 더 먼저 오는 리스크 신호 해석하기 - [현장 사례 분석] 위기 상황은 처음부터 위험했을까? 징후를 무시한 조직의 결말 - [인지편향과 대응 실패] '우리 조직은 괜찮겠지'라는 착각 - [업무 흐름과 리스크] 보고 체계, 반복되는 실수, 구조적 무관심에서 오는 위기 - [실습] 최근 경험한 위기 상황 분해 → 발생 원인 & 회복 실마리 도출 Ⅱ. 대응은 선택이 아닌 준비│위기 시나리오 설계 - [리더의 역할 재정의] 책임자가 아닌 '해석자'로서 위기 보는 관점 정렬 - [회복 탄력성 진단] 우리 조직의 회복력 점검: 회피 vs 대응 vs 전환 - [통제 가능한 것 vs 불확실한 것] 내부 통제 포인트 설정하기 - [R-Process] 위기 시나리오 설계: Risk Signal → Response Flow → Recovery Plan - [리더의 커뮤니케이션] 불안감을 줄이는 메시지, 신뢰를 남기는 말 - [실습] 팀별 위기 유형 선택 → 대응 브리핑 플로우 설계 실습 Ⅲ. 회복하는 조직│리더의 용기와 회복력 - [심리적 안전감] 회복을 이끄는 조직은 무엇이 다른가 - [무너진 신뢰 회복] 사후 수습보다 중요한 '사전 명확성' - [사례] 위기를 기회로 바꾼 기업의 회복 전략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윤리경영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윤리경영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│윤리경영의 본질 - [공정 vs 정당성] 모두에게 공평할 수는 없지만 모두가 납득할 수는 있어야 한다 - [ESG·CSR·윤리경영] 개념을 넘은 시대 흐름과 조직 내 적용 관점 - [이해관계자와 신뢰] 고객보다 더 중요한 내부의 ‘신뢰 회로’ - [영화 속 키워드] 권한과 책임의 균형, 신뢰를 잃는 한 마디, 공정함에 대한 집착 - [기업 사례 분석] 윤리경영으로 생존한 기업 vs 투명성 부족으로 무너진 기업 - [질문] 당신의 조직은 ‘정의’의 기준을 어디에 두고 있는가? Ⅱ. 윤리적 리더의 딜레마│심리학으로 읽는 의사결정 - [합리화의 덫] 조직 내 윤리적 회색지대: 누구나 빠질 수 있는 선택 - [정서 vs 원칙] 감정적 피로 속 ‘정의로운 결정’을 내리기 어려운 이유 - [심리적 거리두기] 윤리 기준이 흐려지는 조직 내 상황들 - [도덕적 정체성] 스스로를 어떤 리더로 인식하고 있는가? Ⅲ. 지속가능한 조직을 위한 리더십 기준 - [시민 리더십] 윤리적 판단, 공동체적 책임, 자기조율의 균형 - [신뢰 회복 커뮤니케이션] 실수 이후의 사과는 타이밍보다 태도 - [ESG 시대의 조직 행동] 정량보다 ‘정성’을 만드는 리더의 언행 - [리더십 셀프 체크리스트] 내가 지키고 있는 윤리의 기준은 무엇인가? - [팀별 토의] 우리 조직의 윤리경영 수준 & 실천 가능한 제안 도출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포용의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포용의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다름을 바라보는 시선│편견 없는 리더의 시작 - [프레임 전환] 영화 속 다름의 순간을 통해 나의 인식 필터 점검하기 - [사례 탐색] ‘원더’, ‘히든 피겨스’, ‘헬프’ 등 영화 속 포용의 리더 찾기 - [편견 자각] 조직 내 ‘보이지 않는 차별’과 ‘말 없는 침묵’ 읽기 - [언어 훈련] 공감·경청 중심의 포용 화법과 리더의 태도 훈련 - [나눔 대화] 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사람을 판단하고 있었는지 돌아보기 Ⅱ. 포용하지 못하는 조직│묵인되는 차별, 방치되는 거리감 - [심리 실험] 익숙함의 함정과 무의식적 배제 심리 들여다보기 - [구성원 관점] 다양성에 대한 불편감과 회피 감정의 원인 찾기 - [실습 활동] 우리 조직에서 마주한 ‘차이’와 ‘갈등’의 경험 공유하기 - [교차 피드백] 서로의 입장에 서보며 공감 확장하는 피드백 실험 - [문제 정의] 다양성이 위협이 아닌 가능성으로 전환되는 조건 도출 Ⅲ. 포용하는 리더의 힘│다양성을 존중하는 조직문화 만들기 - [포용 리더십] 존중·호기심·공감·연대의 4대 리더 행동코드 소개 - [행동 설계] ‘다름’을 수용하는 리더십 언어와 일상적 습관 설정 - [조직 실천] 차이를 자산으로 전환하는 협업 기반의 문화 만들기 - [실천 카드] 우리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포용 리더십 행동카드 만들기 - [리더 메시지] 함께 웃을 수 있는 환경이 진짜 포용의 완성이라는 메시지 도출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회복탄력성 리더십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회복탄력성 리더십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흔들림 속의 중심 잡기│회복탄력성의 리더십 정의 - [개념 이해] 회복탄력성은 단순한 회복이 아닌, 성장을 동반한 ‘심리적 복원력’임을 이해 - [리더의 역할] 위기 상황에서 리더의 정서 안정감이 팀 전체에 미치는 영향 인식 - [스트레스 대처] 반응 아닌 선택을 할 수 있는 자기 조절력 키우기 - [심리방어 해소] 회피·과잉방어 등 흔한 대응 습관 점검과 전환 연습 - [자기 성찰] 리더 자신의 회복 경험을 바탕으로 조직 회복의 가능성 찾기 Ⅱ. 유연한 사고와 감정의 힘│탄력성의 실천 조건 - [마음의 여유] 완벽주의·통제욕을 내려놓고 ‘여유 있는 리더십’ 설계하기 - [성장 마인드셋] 실패에 대한 해석방식 전환과 회복 중심 관점 강화 - [감정 리터러시] 내 감정을 읽고 말로 표현하는 감정소통 기술 체득 - [일의 의미] 리더의 언어가 조직의 사기와 몰입도에 미치는 작용 살펴보기 - [자기 대화] 리더의 내면 언어 점검을 통한 긍정적 자기 확신 회복 Ⅲ. 함께 일어서는 조직 만들기│회복하는 문화의 조건 - [집단 회복력] 리더 한 사람의 회복력과 조직 전체 분위기의 연결 고리 이해 - [실패 수용] 조직 내 '실패를 수용하는 문화'를 형성하는 리더의 접근법 - [회복 언어] 지지·공감·격려 중심의 리더십 대화법 구성하기 - [일상의 실천] 구성원 회복을 위한 리더의 일상 언행과 소소한 실천 도출 - [비전 재설정] 회복 이후 새롭게 맞이할 ‘조직의 의미’와 ‘리더의 비전’ 정리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
리더의 이미지 포커싱 교육프로그램
교육프로그램 | 리더의 이미지 포커싱 | 시간 | 2~8H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램 세부내용 |
Ⅰ. 신체와 색, 분위기를 설계하기│시각적 이미지 전략 - [퍼스널 컬러] 피부톤과 머리색, 복장 컬러 분석을 통한 리더 이미지 설계 - [스타일링 코칭] 메이크업·헤어·의상 연출로 전략적 인상 디자인 - [비언어 요소] 눈빛·제스처·자세·표정 등 신체 언어에서 주는 메시지 점검 - [API 진단] 대인관계 이미지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 활용 및 개인 피드백 - [브랜드화] 퍼스널 브랜딩을 위한 시각적 강점 키워드 도출 Ⅱ. 톤과 목소리의 메시지│청각적 이미지 전략 - [보이스 코칭] 음성 톤, 말 속도, 발음 등을 통해 신뢰감 있는 리더의 음성 구현 - [톤 분석] 현재 화법을 음성 톤과 언어 패턴으로 분석하여 개선 방향 찾기 - [목소리 훈련] 억양·쉼·호흡을 활용한 설득력 있는 말하기 기법 연습 - [1:1 피드백] 개별 화법 녹음 및 듣기 분석을 통한 자기 이미지 진단 - [[감정 전달력] 청각적 요소로 감정의 온도와 메시지 정확도 높이기 Ⅲ. 언어가 이미지다│화법과 문장의 설계 - [문장 구성력] 말의 구조와 어휘 선택이 주는 인상 분석 및 개선 - [전문 언어] 단어 선택만으로 전문성과 신뢰감을 표현하는 언어 설계 - [화법 유형] 설명형, 공감형, 권유형 등 다양한 화법 유형 적용법 익히기 - [표현 코칭] 너무 딱딱하거나 가벼운 표현을 정제하고 개성 유지하기 - [주제 전달력] 중심 메시지를 분명히 하고 공감 중심으로 말하기 훈련 |
||
강의방법 | 강의/질문/사례/토의/Slido/실습/동영상 |
